content="width=device-width, height=device-height, initial-scale=1, minimum-scale=1.0, maximum-scale=1.0" />
강바람: 강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말하는 '강바람(江-)'과는 다른 말이다. 고유어 강바람은 '비는 내리지 않고 몹시 세게 부는 바람'을 일컫는다. 강바람은 일종의 계절풍이다. 비는 오지 않고 바람만 몹시 부는 태풍을 강바람이라 할 수 있다.
꽃샘바람: 꽃이 필 시기인 봄철에 부는 찬바람을 말한다. '꽃샘'에서 '샘'은 물이 나는 샘이 아니라 시샘을 뜻하는 샘이다. 입춘이 지나고 봄이 시작되는 시기이지만 꽃이 피는 것을 시샘하여 매우 차가운 바람이 분다는 것이다. 꽃샘바람은 예쁜 말맛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사람들의 몸을 으스스 떨게 하는 아주 매서운 바람이다.
높새: 산에서 재를 넘어 부는 바람인 '재넘이'의 한 가지다. '높'은 북쪽을 가리키고 '새'는 동쪽을 말한다. 합쳐서 높새 이름 자체가 '북동풍'이다. 뱃사람들이 북동풍을 이르는 말이 높새이다. 같은 이치로 '높하늬'는 북쪽과 서쪽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북서풍'이 된다. 영서 지방에서는 초여름에 산맥을 넘어 불어오는 고온 건조한 북동풍을 높새라고 한다. 지리학 용어로는 '푄'이라 한다. 농작물을 마르게 해 농민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는 바람이기도 하다. 한편 뱃사람들이 방향을 가리키는 말로 '새'는 동쪽, '하늬'는 서쪽, '마'는 남쪽, '노'는 북쪽이다.
된바람: '북풍'을 뱃사람들이 이르는 말로 센 북풍을 가리킨다. 빠르고 세게 분다. 그래서 뱃사람들은 북동풍을 '된새바람' 또는 줄여서 '된새'라고 부른다. 또 북서풍을 '된하늬바람'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지방에 따라서는 '된'이 동쪽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동남풍을 '된마'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그 예이다. 보통은 된바람은 '빠르고 세게 부는 바람'을 뜻한다.
마파람: 남쪽 또는 앞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다. 뱃사람 말로 '마'는 남쪽이다. 마파람은 남풍이다. '맞바람'에서 비롯된 말임을 추측할 수도 있지만 '마'가 남쪽을 뜻하는 말로 굳어짐에 따라 맞바람과는 구별해서 쓰게 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아가는 방향에서 마주 불어오는 바람은 방위와 상관없이 '맞바람'이라 할 수 있다. '맞바람'과 '마파람'의 차이다. 거슬러 불어오는 바람을 '앞바람'이라고도 하는데 마파람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바람꽃: 먼 산에 구름처럼 끼는 보얀 기운을 말한다. 바람에도 꽃이 있다. 큰 바람이 불기 전에 먼저 먼 산에 구름같이 보얗게 끼는 것을 '바람꽃'이라 한다. 바람꽃이 일면 큰 바람이 불기 때문에 바람꽃은 어떠한 지표가 되기도 했다. 뱃사람들은 출항을 하지 않았고, 농부들은 농작물을 단속했다. 요즘 도시에서는 대기 오염으로 인해 늘 뿌연 먼지가 공기를 뒤덮고 있기 때문에 바람꽃을 보기 쉽지 않다.
보라바람: 높은 고원에서 갑자기 산 밑으로 불어내리는 차갑고 센 바람이다. '보라'는 눈보라, 비보라 같은 일정한 규칙이 없이 무언가가 흩뿌려지는 모양새를 말한다. 바람은 보통 일정한 방향에 따라 불기 마련이지만, 보라바람은 산 위에서 마구발방으로 이리저리 휘몰아친다. 한마디로 미친듯이 불어오는 바람을 말한다.
살바람: 이른 봄철에 비좁은 살품으로 새어드는 찬바람을 말한다. 그리 세게 부는 바람은 아니지만 매우 차갑게 느껴지는 바람이다. 겨울밤 문틈으로 살며시 파고드는 모양으로 '된바람'과 대조된다. 이른바 '황소바람'도 살바람의 하나다.
소소리바람: 이른 봄에 살을 에는 듯할 정도로 음산한 찬바람을 말한다. 흔히 이른 봄날에 부는 꽃샘바람을 '소소리바람'이라고 한다. 하지만 꼭 봄에 부는 바람만은 아니다. '소소리'는 본래 '회오리'를 뜻하는 말이기 때문에 가을이나 겨울철에도 회오리처럼 휘몰아치는 차가운 바람은 소소리바람이라고 한다.
강쇠바람: 초가을에 동쪽에서 부는 바람이다.
건들마: 남쪽에서 불고 건들바람이라고도 한다. 첫가을에 선들선들 시원하게 분다. (=건들바람)
아랫바람: 물의 아랫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다. 연을 날릴 때 동풍을 나타낸다. (윗바람은 서풍이다.)
왜바람: 방향이 없이 이리저리 마구 부는 바람이다. 왜바람의 '왜'는 큰 것을 나타낸다.